
우주에는 수천억 개의 은하가 존재하며, 각 은하에는 수천억 개의 별이 빛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밤하늘은 왜 어둡게 보일까요? 이 단순한 질문은 천문학의 가장 흥미로운 수수께끼 중 하나인 ‘올베르스의 역설’로 이어집니다. 지금부터 밤하늘은 왜 검은지, 우주의 어둠이 간직한 비밀을 함께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역설의 시작, 무한한 별들과 어두운 하늘올베르스의 의문 1823년, 독일의 천문학자 하인리히 올베르스는 논리적으로 매우 당혹스러운 질문을 제기했습니다. 만약 우주가 무한하고 별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면, 우리가 하늘의 어느 방향을 보든 결국에는 별을 보게 될 것이므로 밤하늘은 별빛으로 가득 차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마치 무성한 숲 한가운데 서 있을 때 어느 방향으로 보아도 나무들이 시야..

최근 국제 공동 연구팀이 발표한 암흑에너지에 관한 혁신적인 연구 결과는 우주론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한 암흑에너지분광장비(DESI) 국제 연구진은 암흑에너지가 시간에 따라 약화되고 있다는 충격적인 발견을 2025년 3월 24일에 공개했습니다. 이는 기존의 우주 모델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가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기존의 암흑에너지 이해와 표준 우주론 모델 우주는 약 130억 년 전 빅뱅으로 탄생한 이후 지속적으로 팽창해 왔습니다. 이는 관측에 의해 우리 은하와 멀면 더 멀수록 더 빠르게 멀어진다는 관측에 의해 놀랍게도 이 팽창은 감속되지 않고 오히려 가속화되고 있다는 사실이 1998년에 발견되었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우주 공간에 어떤 힘이 있기..

저는 SKT 장기 가입고객인데요, SKT 고객으로 이번 해킹사건에 대해서 어떤 느낌인지 간단히 말씀드리려 합니다. 다들 뉴스를 보셔서 아시겠지만, 저의 감정을 딱 한 문장으로 말씀드리면? '뭐 일을 이렇게 하지?'입니다. 그것도 SKT라는 대 통신사가 말입니다. 그럼 해킹을 인지 후, 오늘 오전 예약하고 오후 1시에 유심 교체를 하기까지 들었던 지금의 사태에 대한 이야기 시작합니다. SKT의 소극적 대응 이유가 궁금해 제가 SKT의 해킹 소식을 처음 들었던 날은 20일입니다. '응? 뭐? 해킹? KT도 LGT도 다 당했는 걸 뭘 이렇게 호들갑이냐?' 이렇게 처음 생각하였습니다. 그런데, 뉴스의 내용을 보니 점점 마음이 두근 거리더라고요, '음 ~~~ 정말 큰 일인 것 같은데?'라는 생각이 드는 순간 ..

1930년 2월 18일, 미국 애리조나주 플래그스태프의 로웰 천문대에서 젊은 아마추어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는 두 장의 밤하늘 사진을 번갈아 비교하다가 미세하게 움직이는 점 하나를 발견했습니다. 이는 퍼시벌 로웰이 예측한 ‘행성 X’의 흔적이었고, 3월 13일 태양계 9번째 행성 명왕성의 공식 발견으로 이어졌습니다. 이 발견은 당시 전 세계 과학계와 대중에게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명왕성의 이름은 영국 옥스퍼드의 11세 소녀 베네티아 버니가 로마 신화의 저승의 신 ‘플루토(Pluto)’를 제안해 채택된 것으로, 이 이름은 곧바로 국제적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같은 해 디즈니는 미키마우스의 반려견 ‘플루토’를 등장시켜 명왕성의 대중적 상징성을 한층 강화하였습니다. 행성 X를 찾아서 명왕성의 발견은 단..

인류의 호기심은 항상 우주의 신비를 향해 왔으며, 우주 망원경은 그 비밀을 풀어가는 핵심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지구 대기의 방해 없이 우주 깊숙이 관측할 수 있는 우주 망원경들은 빅뱅 직후의 은하부터 외계행성의 대기 성분까지 분석하며 우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끊임없이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현재 우주에서 활약 중인 주요 우주 망원경들의 최근 업적을 주제별로 살펴보고, 이들이 서로의 연구를 어떻게 보완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인류의 가장 강력한 우주의 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은 미국, 유럽, 캐나다가 25년간 13조 원을 투입해 개발한 사상 최대 규모의 우주망원경입니다. 2021년 크리스마스에 발사된 이 망원경은 지구에서 약 150만km 떨어진 라그랑주 L2 지점에 자..